Heidelberg 성신교회
성신론 | Pneumatology,  신학 | Theology,  은혜의 방도 | Means of Grace

성령의 역사에 대한 바른 이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3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3 문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제 3위 성신(聖神)에 관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53문: 성신께 관하여 당신은 무엇을 믿습니까?

답: 첫째, 성신은 성부와 성자와 함께 참되고 영원한 하나님이십니다 [1]. 둘째, 그분은 또한 나에게도 주어져서 [2] 나로 하여금 참된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그의 모든 은덕에 참여하게 하며 [3] 나를 위로하고 [4] 영원히 나와 함께하십니다 [5].

[1] 창 1:2; 마 28:19; 행 5:3-4; 고전 2:10; 3:16; 6:19 [2] 고후 1:21-22; 갈 4:6; 엡 1:13 [3] 요 16:14; 고전 2:12; 갈 3:14; 벧전 1:2 [4] 요 15:26; 행 9:31 [5] 요 14:16-17; 벧전 4:14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굵은 글씨는 졸인의 강조):

어떤 사람들은 ‘개혁교회는 성신론이 약하다’고 판단하기를 주저하지 않습니다. 왜 그렇겠습니까? 교회, 죄 사함, 부활, 영원한 생명과 같은 것을 모두 성신의 일로 가르쳤는데도 ‘개혁교회는 성신론이 약하다’ 하고 공공연하게 이야기하는 이유가 무엇이겠습니까? 그것은 성신의 사역을 외적인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방언을 하거나 병을 고치는 것이 성신의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러한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 교회에 대하여서는 성신론이 약하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두 가지 점을 생각하여야 합니다. 첫째, 방언이나 병 고침과 같은 것은 일반적인 종교 현상으로서 다른 종교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회교도들도 금식하면서 기도하면 암 환자가 낫는다고 합니다. 절간에서도 방언을 하거나 악귀를 쫓아내는 일을 많이 합니다. 따라서 외적인 현상을 가지고 성신의 사역을 이야기하면 복음의 독특함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둘째, ‘성신론이 약하다’고 하는데, 그때에 말하는 ‘성신론’이 무엇인가를 생각하여야 합니다. 어떤 종교적인 현상이 있으면 성신론이 강하다고 말하는데, ‘자기가 경험한 것’을 체계화하여서 ‘성신론’이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입니다. ‘나의 경험론’이라고 하면 말이 맞을 수 있지만 그것을 ‘성신론’이라고 말하는 것은 참람(僭濫)한 일입니다. 성신론은 성경에서 가르치는 것에 근거하여야 합니다. 그분은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보편적이고 의심할 여지 없는 기독교 신앙의 조항들인 사도신경’은 성경의 교훈을 잘 요약하였습니다. 그래서 사도신경은 성신의 사역 안에 교회, 성도의 교제, 죄 사함, 육신의 부활, 영원한 생명과 같은 것을 포함하여서 가르쳤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한 성신론은 우리의 경험에 근거한 성신론과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생명은 우리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것이지만, 성신의 사역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물론 창조도 마찬가지입니다. 누가 하나님의 창조를 경험해 보고 알 수 있겠습니까? 어떻게 하나님의 창조를 알 수 있습니까? 우리는 경험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성신의 사역에 대해서도 우리는 자기의 경험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서 고백하여야 합니다. 성신은 거룩한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우리가 다 경험할 수 있는 분이 아닙니다. 육신의 부활과 영원한 생명뿐 아니라 성도의 교제와 죄 사함도 우리가 완전히 경험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말씀에서 계시하시는 그분을 믿고 나아갈 때에,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깨닫고 경험하게도 하시는 것입니다.

— 김헌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2, 102–103 쪽 ( 굵은 글씨는 졸인의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