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낙재 소요리문답 강해 1
신학 | Theology

죄는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대한 반역임

사람은 자범죄도 가지고 있습니다. 세상에 태어난 다음에 자기가 스스로 죄를 범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세상에서 얼마든지 보는 죄들입니다. 신문에서도 보고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가 여러 가지로 당하는 죄들입니다. 성경에도 이런 것들을 아주 여러 곳에서 뚜렷이 다 기록해 놓았습니다. 로마서 1장에 보면 죄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했습니다. 갈라디아서 5:19-21에도 기록해 놓았습니다. 한 군데 더 보면, 마태복음 15:19-20에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과 살인과 간음과 음란과 도둑질과 거짓 증거와 훼방이니 이런 것들이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이요” 하고 기록하였습니다. 이런 것들이 자범죄입니다. 사람들이 이 세상에 태어난 후에 자기가 배워서 하는 것들입니다. 또 야고보서 1:14-15에도 보면, 이런 자범죄가 어떻게 해서 생기는지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결국 욕심에 이끌려 욕심이 차차 커져서 죄가 됩니다.

사람들은 보통 원죄에 비해 자범죄는 대개 인정합니다. 대개 인정한다고 하였는데, 과연 대개 인정하는 것이지 자범죄에 대해서도 모든 사람이 다 그 죄를 인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범죄에 대한 인식도 자꾸 사라져 가고 있는 것을 봅니다. 어떤 죄의 현상이 일어나면 ‘그 사람이 그 죄를 지었다” 하고 말하거나 생각하는 것이 아니고 환경의 탓으로 돌립니다. ‘그 사람이 어떻게 어렵게 되어 그렇게 된 것이지, 너도 그 가운데 들어가 봐라. 그렇지 않을 수 있느냐?” 하고 말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환경이 나쁘면 거기에 따라 죄를 짓게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죄의 책임을 환경에 돌려 버리면 되느냐 하면 그것은 큰 오산입니다. 그렇다면 성경 말씀은 다 틀린 말이 될 것입니다. 가난하고 못 배워서 죄짓는 일도 있지만 부유하고 잘 배운 사람도 갖가지 죄를 다 범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 반드시 환경 때문에 죄를 짓는다고 말할 수만 없습니다. 그래 이런저런 일로 인해 죄에 대한 인식이 세상에서 자꾸자꾸 사라져 갑니다. 원죄에 대해서는 더구나 인정하지 않고 자범죄, 곧 자기가 약해서든지 아니면 고의적으로든지 죄를 지어 놓고도 그다음에는 세월이 지나면 죄가 아닌 것같이 생각하고, 자기 죄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죄에 대해서도 그것이 죄가 아니라고 어떤 변명을 해야 자기도 죄인으로 규정되지 않으니까 여러 가지 심리적인 현상으로 그것을 설명하고 환경의 탓으로 돌려 죄의 인식이 사람 가운데서 이 세상에서 자꾸자꾸 희박해지는 것입니다. 죄라는 것은 없는 것같이 생각하고 삽니다.

그리고 이 죄에 대해 인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한 것에 대해서는, 인간들끼리 서로 손해를 끼친 것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하나님께 죄를 지었다는 것은 잘 인정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자기가 하나님께 죄를 지었다는 생각은 참으로 드문 것입니다. 죄를 지었다고 하면 당장 사람 누구에게 죄를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은 사람에 대해 죄지은 것만을 생각하고 하나님께 죄를 지었다는 것은 별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죄에 대한 참된 인식은 하나님 앞에서 가지는 것입니다. 다윗이 회개할 때 어디서부터 출발했느냐 하면 ‘내가 하나님께 죄를 지었습니다. 오히려 하나님께만 죄를 지었습니다’ 하였습니다. 물론 사람에게 죄를 지었지만, 그것은 하나님께 지은 죄에 비교하면 아무것도 아니고 가벼우니까 자기 죄가 전부 하나님 앞에 지어서 큰일 났다는 느낌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죄를 지었다고 할 때에는 이 점이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 이 점이 가장 두려운 것입니다. 죄에 대한 인식이 있다고 할 때는 자기가 하나님 앞에 죄를 지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최낙재,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강해 1”, 418-4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