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이 세상 | This World

    하나님의 자비, 법, 의, 심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 10, 11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11 문답은 하나님의 자비와 법과 의와 심판에 관한 것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9문: 하나님께서 사람이 행할 수 없는 것을 그의 율법에서 요구하신다면 이것은 부당한 일이 아닙니까? 답: 아닙니다. 하나님은 사람이 행할 수 있도록 창조하셨으나, 사람은 마귀의 꾐에 빠져 고의(故意)로 불순종하였고, 그 결과 자기 자신뿐 아니라 그의 모든 후손도 하나님의 그러한 선물들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3 10문: 하나님께서는 그러한 불순종과 반역을 형벌하지 않고 지나치시겠습니까? 답: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원죄(原罪)와 자범죄(自犯罪) 모두에 대해 심히 진노하셔서 그 죄들을 이 세상에서 그리고 영원히 의로운 심판으로 형벌하실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온갖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 있는 자라”(갈 3:10)고 선언하셨습니다. 11문: 그러나 하나님은 또한 자비하신 분이 아닙니까?…

    Comments Off on 하나님의 자비, 법, 의, 심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 10, 11 문)
  •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으신 사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답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이 지으심을 받았음을 고백하고 있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6문: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그렇게 악하고 패역한 상태로 창조하셨습니까? 답: 아닙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선하게, 또한 자신의 형상, 곧 참된 의와 거룩함으로 창조하셨습니다. 이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창조주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마음으로 사랑하며, 영원한 복락 가운데서 그와 함께 살고, 그리하여 그분께 찬양과 영광을 돌리기 위함입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1, 91–92 쪽). 굵은 글씨 강조는 졸인이 한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을 정태적(靜態的)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역동적으로 가르칩니다. 하나님께서 맡겨 주신 사명이 먼저 있는 것이고 그 일을 이루려고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 재능들을 주십니다. 의와 거룩함과…

    Comments Off on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으신 사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
  • 복음 | Gospel

    하나님의 의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 13, 14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14 문답은 하나님의 의와 그리스도에 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12문: 하나님의 의로운 심판에 의해 우리는 이 세상에서 그리고 영원히 형벌을 받아 마땅한데, 어떻게 이 형벌을 피하고 다시 하나님의 은혜를 입을 수 있겠습니까? 답: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의(義)가 만족되기를 원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든 아니면 다른 이에 의해서든 죗값을 완전히 치러야 합니다. 13문: 우리가 스스로 하나님의 의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까? 답: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날마다 우리의 죄책(罪責)을 증가시킬 뿐입니다. 14문: 어떠한 피조물이라도 단지 피조물로서 우리를 대신하여 하나님의 의를 만족시킬 자가 있습니까? 답: 하나도 없습니다. 첫째,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죄책 때문에 다른 피조물을 형벌하기를 원치 않으십니다. 둘째, 어떠한 피조물이라도 단지 피조물로서는 죄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의 짐을 감당할…

    Comments Off on 하나님의 의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 13, 14 문)
  •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성부 하나님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26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26 문답은 사도신경에서 고백한 성부 하나님에 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26문: “전능하신 성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나는 믿사오며”라고 고백할 때 당신은 무엇을 믿습니까? 답: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하신 아버지께서 아무것도 없는 중에서 하늘과 땅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또한 그의 영원한 작정과 섭리로써 이 모든 것을 여전히 보존하고 다스리심을 믿으며, 이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 그리스도 때문에 나의 하나님과 나의 아버지가 되심을 나는 믿습니다. 그분을 전적으로 신뢰하기에 그가 나의 몸과 영혼에 필요한 모든 것을 채워 주시며, 이 눈물 골짜기 같은 세상에서 당하게 하시는 어떠한 악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실 것을 나는 조금도 의심치 않습니다. 그는 전능하신 하나님이기에 그리하실 수 있고, 신실하신 아버지이기에 그리하기를 원하십니다.…

    Comments Off on 성부 하나님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26문)
  • bm,  예배 | Worship,  하나님 나라의 법도 | The Law

    예수님을 형상을 왜 그리면 안되는가

    질문 1: 성부 하나님의 형상을 만드는 것은 계명을 어기는 것일지라도, 그리스도의 경우 인성(人性)을 취하셨으니 만큼 형상을 만들어도 되지 않습니까? 대답: 아닙니다. 에피파니우스는 교회에 걸린 그리스도의 형상을 보고 산산히 부수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그리스도이신 것은 당신의 신성(神性)이 인성과 결합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당신의 신성을 그려서는 안 되는 우리가 당신의 인성을 그리는 것은 죄이며, 당신을 반쪽짜리 그리스도로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하나 되게 하신 것을 우리가 분리시키는 것이며, 그리스도를 그리스도 되게 하는 것 중 우선 되는 것을 제(除)하는 것입니다. — 토마스 왓슨, A Body of Practical Divinity, 1692 (블로그 저자 번역) 96문: 제2계명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어떤 형태로든 하나님을 형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고 [1], 하나님이 그의 말씀에서 명하지 아니한 다른 방식으로 예배하지 않는 것입니다…

    Comments Off on 예수님을 형상을 왜 그리면 안되는가
  •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성전(聖傳)이 아닌 성경(聖經)에 유일한 권위를 두셨던 예수님과 바오로

    로마 가톨릭 교회는 하느님께서 그분의 의사를 계시하시는데 성전(聖塼) 또한 사용하신다고 가르친다. 이것이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이요, 지금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오고 오는 신도들이 항상 믿고 따라야 한다고 영구히 선언한 것이다. 그것이 만일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해 전하시고 성경(聖經)으로 남게 하신 하느님의 의사와 어긋난다면 어쩔 것인가? 자기는 누구의 가르침을 따르네, 누구는 또 누구의 가르침을 따르네, 하며 갈등을 빚던 교인들에게 바오로 사도를 통해 가르치신 것은 이것이다: ‘기록된 것에서 벗어나지 마라.’ (1코린 4:6) 여기서 ‘기록된 것’이라 함은 물론 그 당시 기록으로 남아있던 것 곧 구약 성경이라 할 수 있겠다 —  사도가 하는 말이라고 해서 믿을 것이 아니라 구약 성경으로 뒷받침 되는가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신약 성경이 하느님의 감동으로 된 것임을 아는 이유 중…

    Comments Off on 성전(聖傳)이 아닌 성경(聖經)에 유일한 권위를 두셨던 예수님과 바오로
  • 신학 | Theology

    톰 라이트 (N. T. Wright) 주교의 예수님에 대한 이해는 정당한가

    칭의와 관련된 라이트 (N. T. Wright) 주교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은 많이 지적 되었지만, 예수님 당신에 대한 이해에서는 오히려 좋은 시각을 제공한다는 이야기를 종종 들었다. 그런데, 그것이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사실, 예수님의 행적과 우리의 칭의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그러니, 칭의론에서 바른 이해를 보이고 있지 못하다면 예수님의 행적에 관해서도 오류를 범하는 것이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김에 그에 대한 좋은 책을 추천하자면 김홍전 박사가 쓴 <예수님의 행적>이 (총 10권) 있다.

    Comments Off on 톰 라이트 (N. T. Wright) 주교의 예수님에 대한 이해는 정당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