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 Salvation
주기도문에 나타난 용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6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5 문답은 주기도문에 나타난 용서의 문제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126문: 다섯째 간구는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소서”로, 이러한 간구입니다. “주의 은혜의 증거가 우리 안에 있어서 우리가 이웃을 용서하기로 굳게 결심하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보혈을 보시사 우리의 모든 죄과(罪過)와 아직도 우리 안에 있는 부패를 불쌍한 죄인인 우리에게 돌리지 마옵소서.”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4, 228–229 쪽). 굵은 글씨 강조는 졸인이 한 것이다.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라고 구하는 것은, ‘내가 남을 용서했으니까 주님도 나를 용서해 주십시오’ 하는 뜻이 아닙니다. 이 점에서 126문은 참으로 뛰어난 해설입니다. “주의 은혜의 증거가 우리 안에 있어서 우리가 이웃을 용서하기로 굳게 결심하는 것처럼” 이라고…
일용할 양식과 생명의 문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5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5 문답은 주기도문에 나타난 바 일용할 양식으로 표현된 생명의 문제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125문: 넷째 간구는 무엇입니까? 답: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소서”로, 이러한 간구입니다. “우리의 몸에 필요한 모든 것들을 내려 주시며, 그리하여 오직 주님이 모든 좋은 것의 근원임을 깨닫게 하시고, 주님의 복 주심이 없이는 우리의 염려나 노력, 심지어 주님의 선물들조차도 우리에게 아무 유익이 되지 못함을 알게 하옵소서. 그러므로 우리로 하여금어떤 피조물도 의지하지 않고 오직 주님만 신뢰하게 하옵소서.”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4, 201–202 쪽).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소서”라는 간구는 사람의 생명이 일용할 양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게 달려 있다는 것을 깨우치는 기도이고, 또한 우리가 일용할 양식도 구하여서 얻는 존재임을 깨닫게 하는 기도입니다.…
주기도문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4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4 문답은 주기도문에 나타난 바 교회와 하나님의 뜻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124문: 셋째 간구는 무엇입니까? 답: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로, 이러한 간구입니다: “우리와 모든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뜻을 버리고, 유일하게 선하신 주님의 뜻에 불평 없이 순종하게 하옵소서. 그리하여 각 사람이 자신의 직분과 소명을 하늘의 천사들처럼 즐거이 그리고 충성스럽게 수행하게 하옵소서.”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4, 156–157 쪽). 굵은 글씨 강조는 졸인이 한 것이다.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하고 기도하라고 가르치신 예수님께서는 하늘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서 이루시면서 우리에게 그 뜻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십자가를 통한 구원이 하나님의 뜻임을 가르쳐 주시고서, 우리로 하여금 그분의 구원과 경영 안에서…
왜곡되어 인용되는 인기 구절 (2):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은 아니니라”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은 아니니라”는 야고보서 2장 24절 말씀은 칭의(稱義, justification)의 문제와 관련하여 종종 (특히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왜곡 되어 인용된다. 칭의라고 하는 신학 용어는 쉽게 말해 사람이 하나님께로부터 ‘너는 죄 없는 자로 여긴다’ 하심을 받는 것을 가리킨다. 야고보서의 말씀이 언뜻 보면 칭의를 위해서는 사람의 행함도 필요하다고 가리키는 것 처럼 보이는데, 그러려면 성경에서 ‘의롭다 하심’이라는 말이 나올 때는 항상 ‘칭의’를 뜻하는 것이어야 할텐데,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 야고보서의 이 말씀을 가지고 쓰여진 좋은 글들이 많이 있는데, 국어로 쓰여진 것 중엔 개인적으로 쏙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 이번 기회에 나름대로 정리한 것을 적어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언급했듯이, 야고보서 2:24에서 사용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δικαιόω)라는 표현은 칭의 말고도 다른 뜻으로 성경에서…
행복과 거룩함, 무엇을 좇을 것인가
행복 보다 거룩함을 추구해야 한다는 글을 읽었다. 많이 동감하고 수긍이 간다. 거룩함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그리스도의 일부로서 그의 지체답게 사는 것이다. 사실 여기에 우리가 도무지 상상하지 못한 영원하고도 충만한 기쁨과 즐거움이 있다고 성경은 말한다. 주의 앞에는 충만한 기쁨이 있고 주의 오른쪽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 (시 16:11) 하나님이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예비하신 모든 것은 눈으로 보지 못하고 귀로 듣지 못하고 사람의 마음으로 생각하지도 못하였다 (고전 2:9). 그런데 이것이,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는, 정말 믿기 어려운 것 중 하나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진짜 재미를 못 보게 하신다는 생각이 큰 바위와 같이 내 마음 속에 자리 잡고 있다. 믿음이 요구 된다.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뢰가 없다면, 행복과 거룩함 사이에서 거룩함을 택하기가 참으로 어려울 것이다. 믿음으로…
십계명 제 3계명과 성령 훼방의 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 100 문답)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100 문답은 제 3계명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99문: 제3계명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저주나 거짓 맹세, 또는 불필요한 서약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거나 잘못 사용하지 않는 것이며, 더 나아가 침묵하는 방관자가 되어 그러한 두려운 죄에 참여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만 사용하여,5 우리가 하나님을 바르게 고백하고 부르며 우리의 모든 말과 행실에서 그분이 영광을 얻도록 하는 것입니다. 100문: 맹세나 저주로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은 그들이 할 수 있는 대로 그러한 죄를 막거나 금하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 하나님께서 진노하실 정도로 중대한 죄입니까? 답: 진실로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보다 더 크고 하나님을 진노케 하는 죄는 없습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이 죄를 사형으로 벌하라 명하셨습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제 3계명과 관련하여 성신…
맹세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01, 102 문답)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01–102 문답은 맹세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101문: 그러나 하나님의 이름으로 경건하게 맹세할 수는 있습니까? 답: 그렇습니다. 국가가 국민에게 요구하는 경우, 혹은 하나님의 영광과 이웃의 복을 위하여 신뢰와 진리를 보존하고 증진시키는 데 꼭 필요한 경우에는 맹세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맹세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한 것이며, 그렇기에 구약과 신약의 성도들도 이것을 옳게 사용해 왔습니다. 102문: 성인(聖人)이나 다른 피조물로도 맹세할 수 있습니까? 답: 아닙니다. 정당한 맹세는 오직 홀로 사람의 마음을 아시는 하나님을 불러, 진리에 대해 증인이 되어 주시며 내가 거짓으로 맹세할 때에 형벌하시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영예는 어떤 피조물에게도 돌아갈 수 없습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3, 165–166 쪽) 우리가 하나님을 증인과 심판자로 부르면서 맹세하고, 하나님께서 자기 이름과 함께 그 맹세의 자리에 임하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