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성경공부 | Scripture Study,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경건을 돕는 친구 (잠언 27장 1–22절)

    우리 교회에서는 얼마 전부터 잠언이 강설되어 왔다. 지난 6월 2일에는 잠언 27장 1–22절을 읽고 경건과 성화에 도움이 되는 우정을 상고하였다. 설교 녹음을 듣기 위해서는 다음 주소에서 6월 2일에 올라온 “Sanctifying Friendship”이라는 제목의 연결고리를 찾으면 된다: http://www.gracerpc.org/node/4 여기에는 간략하게 우리말 요약을 적어본다: “Sanctifying Friendship” (Proverbs 27:1–22) — original sermon by David Hanson, Korean summary by Hun Hong 100명의 사람들에게 친구를 고르는 기준을 묻는다면 어떤 대답이 많이 나올까? 같이 있으면 재미있는 사람, 취미가 같은 사람, 나이가 비슷한 사람, 사업에 도움이 되는 사람, 학업에 도움이 되는 사람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잠언은 친구를 사귀는 것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 우리는 친구로부터 좋던 나쁘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사람들에게는…

    Comments Off on 경건을 돕는 친구 (잠언 27장 1–22절)
  •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성령의 열매가 지니는 성격

    성신의 열매라는 말은 갈라디아서 5장 22절에 나오는데, “성령의 열매는…” (“The fruit of the Spirit is…”)하고 시작하는 이 말은 단수로 쓰였지 복수가 아니다. 그러니까 뒤따라 나오는 “사랑, 희락, 화평, 오래 참음, 자비, 양선, 충성, 온유, 절제”라는 성격들은 다양한 종류의 성신의 열매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마치 하나의 열매에서 단맛과 신맛 뿐만 아니라 씹히는 맛 등을 골고루 찾을 수 있는 것 처럼, 성신께서 개인 뿐만 아니라 특히 교회 가운데 맺으시는 열매 가운데 사랑, 희락, 화평 등과 같은 다채로운 성격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나는 혹은 우리 교회는 충성의 열매는 있는데, 절제의 열매는 없다’는 식의 생각은 썩 좋은 것이 아니다. 아래는 최낙재 목사님의 강설 가운데 성신의 열매에 관한 구절들이다: 성신이 있는 사람은 성신의 아름다운…

    Comments Off on 성령의 열매가 지니는 성격
  • 성례전 | Sacraments,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성령의 씻김으로 거룩해진다는 말의 의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9, 70, 71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9–71 문은 우리의 행위와 구원의 관계 관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69문: 그리스도께서 십자가 위에서 이루신 단번의 제사가 당신에게 유익이 됨을 거룩한 세례에서 어떻게 깨닫고 확신합니까? 답: 그리스도께서 물로 씻는 이 외적(外的) 의식을 제정하시고 [1], 그의 피와 성신으로 나의 영혼의 더러운 것, 곧 나의 모든 죄가 씻겨짐을 약속하셨습니다 [2]. 이것은 물로 씻어 몸의 더러운 것을 없애는 것처럼 확실합니다. 70문: 그리스도의 피와 성신으로 씻겨진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답: 그리스도의 피로 씻겨짐은 십자가의 제사에서 우리를 위해 흘린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은혜로 우리가 하나님께 죄 사함 받았음을 뜻합니다 [3]. 성신으로 씻겨짐은 우리가 성신으로 새롭게 되고 그리스도의 지체(肢體)로 거룩하게 되어, 점점 더 죄에 대하여 죽고 거룩하고 흠이 없는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Comments Off on 성령의 씻김으로 거룩해진다는 말의 의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9, 70, 71 문)
  • bm,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사람의 열심과 능력을 의지 않고 자기를 철저히 부인해야 함

    제자들은 예수님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계시를 많이 받았고, 또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실도 잘 알았고 그의 부활도 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바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 하는 주의 명령을 받았습니다. ‘오직 성신이 너희에게 임하실 때에 너희가 권능을 얻으리니 그때에 너희가 나의 증인이 될 것이다’ 하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왜 그렇게 하셨는가를 우리가 거기서 배워야 할 것입니다. 사도들은 들어야 할 것을 듣고 보아야 할 것을 많이 본 사람들입니다. 부활까지 본 사람들입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에게 나가서 무엇을 전하면 어떤 전할 소식을 다 가지고 있고 알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도 기다리라고 하셨습니다. ‘성신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능력을 받을 것이니까 그때에 너희가 나가서 내 증인이 되어라’ 하고 당부하신 것입니다. 자기의 무능 – 사람의 무능 – 과 무지를…

  • 기독론 | Christology,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예수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는 이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34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34 문답은 예수님이 우리의 주님으로 부르는 의미에 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34문: 당신은 왜 그분을 “우리 주”라 부릅니까? 답: 왜냐하면 그분이 금이나 은이 아니라 그의 보혈로써 우리의 몸과 영혼을 우리의 모든 죄로부터 구속(救贖)하셨고, 우리를 마귀의 모든 권세에서 해방하여 주의 것으로 삼으셨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1, 361–362 쪽). 하나님과 예수님을 주라고 부르면 그 말이 나에게는 무엇을 의미하겠습니까? 나는 ‘종’이라는 뜻입니다. 사람들은 종이 되기를 싫어합니다. 그래서 16세기에 에라스무스라는 사람은 ‘기독교인들은 노예의 의지를 가졌다. 자유 의지를 가진 것이 아니라 종의 의지를 가졌다’ 하면서 기독교를 비난하였습니다. 그러나 높아지신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과 같으신 분이시지만 하나님과 동등 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여호와의 종’이라 불리기를 기뻐하셨습니다.…

    Comments Off on 예수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는 이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34 문)
  •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으신 사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답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이 지으심을 받았음을 고백하고 있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6문: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그렇게 악하고 패역한 상태로 창조하셨습니까? 답: 아닙니다. 하나님은 사람을 선하게, 또한 자신의 형상, 곧 참된 의와 거룩함으로 창조하셨습니다. 이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창조주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마음으로 사랑하며, 영원한 복락 가운데서 그와 함께 살고, 그리하여 그분께 찬양과 영광을 돌리기 위함입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 1, 91–92 쪽). 굵은 글씨 강조는 졸인이 한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의 형상인 사람을 정태적(靜態的)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역동적으로 가르칩니다. 하나님께서 맡겨 주신 사명이 먼저 있는 것이고 그 일을 이루려고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 재능들을 주십니다. 의와 거룩함과…

    Comments Off on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으신 사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