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 Theology
“안식일=토요일”은 아니다
제목을 먼저 설명해야겠다; 성경 말씀을 있는 그대로 평명하게 읽어보면 하나님께서 제 4계명에서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셨을 때엔 “토요일”을 지키라고 하신 것은 아니었다. 말 그대로 여섯 날은 일하되 “제 칠일”은 쉬라고 하신 것이다 — 이 말씀은 “너희는 칠 일을 한 주기로 살아라, 여섯 날은 일하되 일곱째 날은 나의 안식 속에 쉬어라”는 말씀이다. 이것이 구약 교회의 경우 유월절을 기점으로 새 해가 시작되는 이스라엘의 달력상 토요일에 쉬게 된 것이지, 토요일의 그 무엇이 그날로 하여금 안식일이 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왜 이것을 그 전에는 생각지 못했는지 모르겠다. 생각해보자;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달력 상 하나님께서 언제 세상을 창조했는지 어떻게 아는가? 정말 지금의 주일이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기 시작하신 바로 그 날인가? 게다가 아브라함은 모세가 전한 율법을…
안식일과 주일
평소에 갖고 있던 의문 하나가 풀렸다. 안식일에 관한 것인데, 어제 성경 공부 시간에 얘기를 나누게 되었다. 잘 정리가 안 되었던 것이 주일과 안식일의 관계였다. 분명 주일은 이스라엘이 안식일로 지키던 토요일이 아닌데, 교회에서 주일을 제 4 계명과 연관 짓는 것을 들어 왔던 터이다. 당시 내 생각으로는 제 4계명과 연관 지을려면 구약 교회처럼 토요일을 지키던지, 아니면 전혀 다른 의미로서 주일을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게 된 배경에는 십계명은 구약 교회에게 주신 것으로서 신약 교회인 우리에겐 제한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 물론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하나의 보편적 교회에게 주신 말씀이라는 사실과 잘 맞지 않으나, 어쨌든 나는 십계명을 영원법(lex divnina)의 반영으로서 잘 이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일단 어제 깨우친…
주의 은혜로 주의 말씀을 지킴
“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려 하여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 시편 119:11 무엇이 의의 길인지 알기 위해서 주의 말씀을 마음에 두기도 하지만, 이제 내가 느끼는 것은 주의 말씀으로 내가 주의 말씀을 지키게 된다는 것이다. 대적이 나를 취하려 할 때 나는 주의 말씀으로 달려가야 할 것이다. 주님의 명령을 지키기 위해 우리는 주의 은혜가 필요하다.
제한속죄와 전도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서 내 모든 죄값을 하나님께 지불하셨다.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죄책 까지 다 주님은 대신 받으셨다. 그것은 2000년 전의 일이었지만, 시간과 공간을 넘은 하나님의 세계에서 그것은 이미 뚜렷한 사실로 서있는 것이고 단지 나는 시간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은혜가 내게는 2000년 후인 지금 임하였을 뿐이다. 하나님께서 내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때를 기다리셨다가 이제 비로소 2000년 전의 예수님의 그 죽음을 나를 대신한 죽음으로 인정해 주신 것이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돌아가실 때 이미 그 안에서 창세 이후 그리스도께 속한 모든 사람의 죄 값을 하나님은 예수님에게서 받으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예수님은 모든 인류의 죄를 대신해 죽으신 것일까?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하나님께서는 이미 모든 죄인들의 죄 값을 받으셨으므로 그 누구도 지옥으로…
전도를 해야 하는 이유
“But as many as received him, to them gave he power to become the sons of God, even to them that believe on his name: Which were born, not of blood, nor of the will of the flesh, nor of the will of man, but of God.” (요한복음 1:12-13) 역사적인 주류의 신앙은 사람이 자기의 의지로 하나님을 믿을 수 없음을 고백한다. 주의 말씀이 가르치듯이 그리스도 안에서 그 사람이 거듭나야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믿는 것은 둘째로 치더라도 말이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교회에게 엄중히 명하신 바 주의 말씀을 전하라고 하신 것은 우리로 하여금 기독교인들을 만들어내라는 명령이 아님이 분명하다. 우리는 주의 명령 그대로 주의 말씀을 전하는 것이다. 그러면 주의 말씀은…
교회에서의 여성 사역
NAPARC(North American Presbyterian and Reformed Council)이라는 단체가 있어 북미 지역의 개혁교단들의 협의회이다. 근래에 CRC(Canadian Reformed Church) 쪽에서 여성 목사를 세우기로 한 것으로 인해 NAPARC 쪽에서 정중히 탈퇴해 줄 것을 요구했다. 교회에서의 여성 사역에 대해 이승구 교수님의 글이 있는데 읽고 생각의 재료로 삼을만 한 것 같다. 이 글에서도 얘기하고 있고, 또 어제 우리 교회 membership class에서도 얘기가 나왔지만, 한 사람이 교회의 회원이 되기 위해 그 교회가 얘기하는 것에 100% 동감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순종하려는 마음(submissive mind)이다. 어떤 사안에 대해 주의 말씀이 무엇인지 배우려고 하고, 자신의 잘못 있다면 기꺼이 버리고 순종하겠다는 마음, 그리고 교회는 그리스도께서 가장 아끼시는 그리스도의 신령한 몸이라는 그 엄연한 사실에 대한 경외. 그런 마음이 있으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Membership Class 시작
어제부터 교회에서 membership class를 시작해서 참석하고 있다. 교회의 정회원이 되기 원한다면 거쳐가야 하는 과정이다. 매 주일 성경공부 시간에 따로 목사님과 만나서 신앙 고백 전반과 RP 교회가 지향하는 것을 다루게 된다. 그 가운데 이것 저것을 서로 묻고 답한다. 약 8주를 예상하고 있지만 그 이상이 될지도 모른다. 오늘날 알미니안주의가 팽배해 있는 기독교계의 상황 때문인지 대개 개혁교회에 오게 되는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역사적인 신앙 가운데 자라나온 사람이 아닌 이상 이런 저런 교회를 다니다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이라는 것을 다시 깨닫고 온 사람들이다. 그러다 보니 이미 성경과 복음에 관한 기본적인 것은 조금씩 알고 있다. 그래서 class에서도 시간을 두고 중점적으로 얘기할 것은 교회에 대한 것이 될 것이다. 오늘도 간단히 RPC의 전반적인 모습에 대해 얘기를 나누었는데, 역시 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