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 Theology
바울 사도의 심부름: “책은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갖다다오”
네가 올 때에 내가 드로아 가보의 집에 둔 겉옷을 가지고 오고 또 책은 특별히 가죽 종이에 쓴 것을 가져오라 (딤후 3:19) 바울은 감옥에 있을 때도 디모데에게 공부를 위한 책을 가져오라고, 그것도 가죽에 쓰여저 오래 갈 수 있는 것으로 가져오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사도의 태도는 우리에게 모범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대해 스펄전 목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성신의] 영감을 받고 있으면서, 여전히 책을 찾고 있습니다! 최소한 30년 동안 설교를 했지만, 그는 여전히 책을 찾고 있습니다! 왠만한 사람 보다 더 풍부한 경험을 갖고 있었지만, 그는 여전히 책을 찾고 있습니다! 셋째 하늘까지 올라갔다 왔고 사람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을 듣고 왔지만, 그는 여전히 책을 찾고 있습니다! 신약 성경의 대부분을 썼지만, 그는 여전히 책을…
하나님을 아빠라고 부름
Wolfius에 의하면 히브리 사회에서 종은 자기 주인을 “아빠”(אבא)라고 혹은 주모를 “아이마”(אימא)라고 부르지 못하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성령이 친히 우리의 영과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언하시나니” (롬 8:16) “우리가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짖느니라” (롬 8:15)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사람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 (롬 8:14)
- 가정 | Family,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배도 | Apostasy,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신학 | Theology
Why Samson is a Hero of Faith
As we read the story of Samson in the Book of Judges it is hard not to notice the distresses he went through. At the same time we wonder “How come Samson is mentioned in Hebrews chapter 11 as a hero of faith?” Most of preachers or commentators that I read would give explanation such as “Samson did not give up trusting/believing God till the end.” But that doesn’t seem to be an enough reason to be cited as a hero of faith, considering the overall teachings of the Bible. The question regarding Samson’s faith was finally answered in a very important stage in my life through the published sermons…
Lust for Knowledge (Institutes 1.5.6–9)
And here again we ought to observe that we are called to a knowledge of God: not that knowledge which, content with empty speculation, merely flits in the brain, but that which will be sound and fruitful if we duly perceive it, and if it takes root in the heart. — Institutes, 1.5.9 To study and learn just out of curiosity or a want to know can not be recommended, even if the subject is on the historic faith and or spiritual truths, since the objective is simply to fulfill the lust for knowledge. Likewise, good deeds and various honorable works that we could do, if we do it just because it is a…
말씀의 계시로 교회가 생겼기에 성전(聖傳) 역시 성경의 권위 아래 있음 (기독교강요 1.7절)
(1년 완독 계획표가 여기 있습니다.) 1.6절에서 내린 결론 — 하나님의 계시의 기록, 곧 성경을 떠나서는 사람이 하나님께 대한 바른 깨달음을 얻을 수 없음 — 에 의거하여, 하나님께 대한 바른 깨달음의 최종 권위가 성경에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무리들이 교회를 이루고 있고, 교회의 존재의 목적과 의미를 부여해 주는 것이 하나님의 말씀이지, 역으로 교회가 성경에 권위를 부여해 주지 못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교회 역시 성경의 권위 아래 놓여 있는 것입니다. 너희는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 위에 세우심을 입은 자라 (에베소서 2:20) 위의 말씀에서 보듯이 교회가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전한 말씀의 터 위에 세움을 얻었다 했습니다. 누구든지 교회의 부분이 되려면 그 말씀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야 하는 것이고, 또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전해준 사도들과 선지자들이…
Concerns on (Some) Modern Regulative Principle Proponents
Times recently ranked 3rd the “new Calvinism” as the “idea that is changing the world right now”1. I myself have been noticing this. This is quiet true in Korea; and I thank the Lord for his abundant blessings to the Christians in Korea, and raising up reformed churches there. It is worth while to note that one of the main object or reason for the Reformation was to bring back biblical worship.2 The Hebrew word “shachah” (translated “worship” in English) has a simple and clear meaning of “bowing down”; but since it is so easy for humans to understand it as a physical activity, our Lord taught us that we…
Calvin on Worship: The Necessity of Reforming The Church
Here are some schematic equations representing Calvin’s thought on worship, according to some people: “Old Testament Worship $ \overset{?}{=}$ Sacrificial Ceremonies in the Temple” and “Worship $ \overset{?}{=}$ Reading of Scripture + Prayer + Sacraments” but “Worship $\neq$ Reading of Scripture + Prayer + Sacraments + Dancing”. According to my reading of Calvin, however, he says that ‘None of the above is right.‘ His view on worship is carefully written in his letter The Necessity of Reforming the Church. And I shall quote Calvin from that letter throughout this post. In essence, what Calvin says there is that worship cannot be defined in terms of external forms; and that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