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 Theology
참 지혜는 말씀의 계시에서 옴 (기독교강요 1.6절)
(1년 완독 계획표가 여기 있습니다.) 1.5 절에서 내린 결론에 의거하여 1.6절에서는 사람이 하나님에 대한 바른 깨달음을 얻으려면 하나님의 계시가 필수적임을 이야기합니다. 하나님의 계시는 구전 되었다가 기록되었는데 그것이 성경입니다. 모든 인간은 자기 방식의 종교를 고안하는 유혹에 빠지는데, 거기서 벗어나는 유일의 길이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여호와의 율법은 완전하여 영혼을 소성시키며 여호와의 증거는 확실하여 우둔한 자를 지혜롭게 하며 여호와의 교훈은 정직하여 마음을 기쁘게 하고 여호와의 계명은 순결하여 눈을 밝게 하시도다 [시편 19:7–8] 하나님께서 초기에는 유대인들에게 그 말씀을 맡기셨습니다. 그러므로 구원자와 그에 대한 증거가 유대인에게서 나올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없이는 우상 숭배에 빠지게 됨을 예수님께서도 말씀하셨습니다: 너희는 알지 못하는 것을 예배하고 우리는 아는 것을 예배하노니 이는 구원이 유대인에게서 남이라. (요한복음 4:22)
바른 신학은 오직 말씀의 계시에서 옴 (기독교강요 1.5.10–12)
본 소절들에서 칼빈은 하나님의 계시 없이 인간이 스스로 궁구하여 신을 탐구할 경우 여지 없이 거짓과 우상을 숭배하게 되는 사실을 이야기하고 있다.
기독교강요 1년 읽기
올 해는 칼빈 선생이 태어난지 500 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기독교 역사상 가장 훌륭한 신학자 가운데 들어가는 그가 교회에 끼친 유익은 쉽게 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 가운데서도 그가 저술한 기독교강요(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는 교회가 개혁되고 흑암의 중세를 접고 근대사회로 넘어가는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이런 칼빈을 시기하여 그와 관련된 헛소문과 그의 신학을 곡해하는 이야기들이 참 많습니다. 이럴 때 칼빈의 역작인 기독교강요를 직접 읽어 보는 것이 그의 신학과 신앙을 이해하고, 주께서 그 백성들을 얼마나 아끼시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기독교강요를 (영어판) 1 년에 걸쳐 완독할 수 있도록 조금씩 등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 보다 더 중요한 언약의 관계
“인격적 관계”라는 말이 도대체 무슨 뜻인가요? 핵심은 결국 하나님께서는 살아 계신 인격신(人格神)이심을 알고 그 분을 인격적으로 대한다는 것이겠지요. 그렇다면 귀신들도 하나님을 인격신으로 알고 두려워 앞에서 떤 다는 점에서 마귀도 하나님과 인격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야고보서 2:19; 욥기 1장; 마가복음 5:6,7) ‘하나님과 인격적 관계를 맺는다’는 말이 기독교 계에서 한참 유행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언약의 관계입니다. 이 언약의 관계는 당연히 인격적 관계 위에 있습니다. 그러나 ‘인격적 관계’라는 말로는 도저히 다 표현할 수 없는 풍성한 은혜와 사랑이 거기 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겠지요. 언약 파괴자인 우리를 대신하여 그리스도께서 그 은혜의 언약을 보증해 주셨습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인격적 관계’라는 말과 관련하여 다음 글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
Lessons from the Grain Offering
(Thoughts after reading Chapter 8 of “On Offering”, Vol 1, by H. C. Kim) In my child days, I remember seeing people bringing rice to church for offering. This is not so common where I am now; probably the most common material we see brought for offering would be money. Money is closely linked to our daily life; it represents potential for various things. In that sense the nature of the monetary form, which is common for offering in our day and age, is closest to the Grain Offering (Leviticus 2). Grains are used daily and it produces energy for our life, so it represents potential for various works. Another…
기적이 믿음을 주지 못함
기적으로 사람을 믿게 할 수 있다면, 예수님이 지상에서 활동하셨을 때 이스라엘 민중은 다 예수님을 믿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나서 증거한다 해도 믿음이 생기는 것이 아님을 가르치셨습니다: 아브라함이 이르되, “그들에게 모세와 선지자들이 있으니 그들에게 들을지니라.” [부자가] 이르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만일 죽은 자에게서 그들에게 가는 자가 있으면 회개하리이다!” [아브라함이] 이르되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 (누가복음 16장 29-31절) 물론 여기서 “모세와 선지자”라 함은 “토라와 느비임” 곧 성경을 의미합니다.
Worship as Offering
(Thoughts after reading Chapter 2 of “On Offering” by H. C. Kim) What does “worship” mean in the bible? It is the translation of the word that literally means “bow down” (Exodus 34:14; Revelation 4:10). Arthur Pink says, “We owe worship to God. It is his due. We owe love to man and obedience to parents, but worship to God. It is our first duty toward him. He is the all holy, all wise, the Almighty, the Infinite, all perfect One, and our rightful attitude toward him is that of bowing before him, or prostrating ourselves before him, in adoring contemplation of his infinite loveliness and glory, of his attrib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