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은 다른 길이 없다고 하였다 (요한복음 14:6)
산에 오르는 길은 하나가 아니며, 신(神)에게로 가는 길도 하나가 아니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하지만 실상 하나님에게로 가는 길을 찾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왜냐면 성경은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을 당신 앞에 세우신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문제는 길이 몇개냐가 아니라, 어떤 길로 가느냐이다.
사람은 누구나 종이다 (로마서 6:15-23)
오늘 교회 예배에서는 로마서 6장 15-23절에 대한 강설이 있었다. 인상에 남은 몇 가지를 적어 보려고 한다. 안 그래도 근래에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주인이 되시고 우리는 그의 종들이라는 것을 생각할 기회가 있었다. 그리스도와 나의 주종관계, 비록 머리로는 알아도 그렇게 가슴 깊이 뿌리 내리지는 못했다. 내가 누군가의 종이라는 것, 현대인들에게 그리 인기 있는 생각은 아니다. 하지만 성경은 말한다 — 사람은 누구나 종으로 태어난다고 (본문 17절). 우리 시조 할아버지 아담이 마귀의 생각에 순종한 결과로 자연인은 본래 죄의 종으로 태어난다. 하지만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그리스도께서 자기 피로 값을 치루어 죄의 종된 위치에서 빼어내어 그리스도의 것으로 삼은 자이다 (고전 6:19-20, 7:23 참조). 그러므로 사람은 누구나 종이고, 문제는 누구를 주인으로 모셨느냐일 뿐이다. 본문 16절과 19절에 있는…
바울의 1차 전도 여행에서 배우는 교훈 (김홍전 박사)
김홍전 박사의 사도행전 강해 제 6권 제 1강에서는 바울의 1차 여행에서 얻는 교훈을 정리하고 있다: 첫째, '어떤 방법으로 선교를 해 나갔는가?' 둘째, '어떠한 능력이 그들의 뒤를 따랐는가?' 셋째, '그 사람들의 경험은 어떠했는가?' 그리고, 넷째, '그들을 협박하고 위협했던 큰 위험이 무엇인가?' 일단은 유대교의 열혈분자들의 위협과 협박이 있었지만, 가장 큰 위험과 위협은 따로 있었다는 것을 김홍전 박사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지적하고 있다. 끝으로,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을 주러 왔노라”는 예수님의 말씀이 그들의 태도 가운데 어떻게 나타났는가? 그 내용이 매우 귀해서 여기에 다 옮겨 적어서 나누고 싶지만 그러면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요약을 하고 일부분만 인용을 한다. 정통과 보수를 자처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하지만 전체에…
아들이 우리를 영접할 때 (마태복음 17장 변화산 변모 사건)
쉐키나 구름이 임하는 두려운 사건이 일어났다. 하나님 집안의 종들(모세와 엘리야)도 나타났다. 단지 이전과 다른 것 있다면, 이번에는 친아드님이 함께 있다는 것이다. 아들이 영접해준다면, 두려울 것이 없다. 부정한 자들을 영접하기 위해 아들은 부정을 만져서 자기의 것으로 삼았는데, 그 결과는 어떠할 것인가.
예수님과 인격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지 여부는 그리 중요하지 않음
현대 기독교인들 사이에 유행하는 표현이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이다. 하지만 자신이 인지하던 못하던 사람이라고 하는 인격적 존재는 인격신이신 하나님과 인격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실상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과 어떤 언약적 관계를 갖고 있는가이다.
삼계탕이 올라온 원인 (그리고 우리의 구원)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인설(四因說)+수단원인을 삼계탕을 예를 들어 설명한 뒤, 우리 구원의 다섯 가지 원인에 대해 생각해본다. 이를 가지고 율법주의와 반법주의가 범하는 오류를 분명하게 밝힌다.
강문호 목사: “사도신경은 사도적이지도 성경적이지도 않다”
“사도신경은 사도적이지도 성경적이지도 않다”는 기고문을 약 한 달 전에 강문호 목사가 썼다는 소식을 접했다. (지금은 논쟁으로 인해 접속이 차단된듯 하다. 그래도 인터넷에 한 번 올라온 글은 없애기가 참 어렵다.) 이것은 신학과 교회사에 대한 강문호 목사의 이해에 결핍이 있음을 보여준다. 강문호 목사가 금년 종교개혁주일을 기하여 예배시간에 사도신경 고백을 제외했다고 하는데 (그게 무슨 문제될 것은 없고), 정작 개혁자들은 사도신경이 비성경적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고 가톨릭 교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았다. 종교개혁 시대에 작성된 걸출한 신앙고백서 가운데 하나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는 왜 우리가 사도신경을 고백하는지 설명이 잘 되어 있다. (강문호 목사께서 읽어보셨을까?) 바 칼빈이 제네바에서 폭정을 행했다는 허무맹랑한 헛소문에 관한 것도 그렇고, 사도신경이 로마 가톨릭적인 신앙으로 이끈다는 강문호 목사의 주장도 그렇지만, 이러한 주장들이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은 교회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