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을 강조하는 신율법주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9, 60, 61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9–61 문은 오직 믿음을 통한 얻는 칭의에 관한 질문들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마지막 61문의 굵은 글씨는 졸인의 강조): 59문: 이 모든 것을 믿는 것이 당신에게 지금 어떤 유익을 줍니까? 답: 그리스도 안에서 나는 하나님 앞에 의롭게 되며 영원한 생명의 상속자가 됩니다 [1]. 60문: 당신은 어떻게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됩니까? 답: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참된 믿음으로만 됩니다 [2]. 비록 내가 하나님의 모든 계명을 크게 어겼고 단 하나도 지키지 않았으며 [3] 여전히 모든 악으로 향하는 성향이 있다고 [4] 나의 양심이 고소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의 공로가 전혀 없이 순전히 은혜로 [5] 그리스도의 온전히 만족케 하심과 의로움과 거룩함을 선물로 주십니다 [6]. 하나님께서는 마치 나에게 죄가 전혀 없고 또한 내가 죄를 짓지 않은…
성령의 역사에 대한 바른 이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3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53 문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제 3위 성신(聖神)에 관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53문: 성신께 관하여 당신은 무엇을 믿습니까? 답: 첫째, 성신은 성부와 성자와 함께 참되고 영원한 하나님이십니다 [1]. 둘째, 그분은 또한 나에게도 주어져서 [2] 나로 하여금 참된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그의 모든 은덕에 참여하게 하며 [3] 나를 위로하고 [4] 영원히 나와 함께하십니다 [5]. [1] 창 1:2; 마 28:19; 행 5:3-4; 고전 2:10; 3:16; 6:19 [2] 고후 1:21-22; 갈 4:6; 엡 1:13 [3] 요 16:14; 고전 2:12; 갈 3:14; 벧전 1:2 [4] 요 15:26; 행 9:31 [5] 요 14:16-17; 벧전 4:14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굵은 글씨는 졸인의 강조): 어떤 사람들은 ‘개혁교회는 성신론이 약하다’고 판단하기를 주저하지…
그리스도의 승천과 성신, 그리고 위의 것을 구하는 삶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46, 47, 48, 49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46–49 문은 예수님의 승천과 성신, 그리고 위의 것을 구하는 삶과 관련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46문: “하늘에 오르셨고”라는 말로 당신은 무엇을 고백합니까? 답: 그리스도는 제자들이 보는 가운데 땅에서 하늘로 오르셨고, 우리의 유익을 위하여 거기에 계시며, 장차 살아 있는 자들과 죽은 자들을 심판하러 다시 오실 것입니다. 47문: 그렇다면 세상 끝 날까지 우리와 함께 있으리라는 그리스도의 약속은 어떻게 됩니까? 답: 그리스도는 참 인간이고 참 하나님이십니다. 그의 인성(人性)으로는 더 이상 세상에 계시지 않으나, 그의 신성(神性)과 위엄과 은혜와 성신으로는 잠시도 우리를 떠나지 않습니다. 48문: 그런데 그리스도의 신성이 있는 곳마다 인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리스도의 두 본성이 서로 나뉜다는 것입니까? 답: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신성은 아무 곳에도 갇히지 않고 어디나 계십니다. 그러므로 신성은…
그리스도의 칭의와 부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45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45 문은 예수님의 부활과 관련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45문: 그리스도의 “부활”은 우리에게 어떤 유익을 줍니까? 답: 첫째, 그리스도는 부활로써 죽음을 이기셨으며, 죽으심으로써 얻으신 의에 우리로 참여하게 하십니다. 둘째, 그의 능력으로 말미암아 우리도 이제 새로운 생명으로 다시 살아났습니다. 셋째, 그리스도의 부활은 우리의 영광스런 부활에 대한 확실한 보증입니다. 예수님께서 의를 “얻으셨다”는 표현을 썼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죽게 하시고 다시 살리신 것은 우리 죄 때문에 죽으신 그 분이 본래는 율법으로는 흠이 없는 의로우신 분이시기에 살리신 것이다. 즉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의 의로우심을 인정 받은 “칭의”의 사건인데, 그 분이 돌아가신 것도 우리 죄 때문이지만, 그 분이 의롭다하심을 얻으신 것도 우리 때문이라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그리스도께서 잉태되시고 장사되시기까지 받으신 고난
우리로서는 영혼과 육신에 관한 문제를 다 알 수 없고, 따라서 음부에 내려가셨다는 말의 의미도 다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어렵다고 해서 그냥 빼버리지 않고 좀 더 성경적인 표현에 가깝게 생각하면 오히려 큰 유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영혼으로 지옥의 고통을 당하시고 육신으로 가장 낮은 데까지 내려가신 것은, 다른 것을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나를 위함임을 깨닫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하여서 지옥의 고통을 다 받으셨습니다. 율법 아래에서 태어나실 때부터 십자가에서 저주의 죽음을 당하실 때까지 지옥의 고통을 다 받으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위로를 줍니다. 예수님께서 동정녀에게서 태어나심으로써 죄악 가운데 잉태되고 출생한 우리의 죄를 주님의 순결함과 거룩함으로 가려 주셨고, 또한 죄 때문에 무덤에 묻힌 우리를 거기에서 구원하여 주시려고 친히 무덤에까지 내려가셨던 것입니다. 복지 국가는 ‘요람에서 무덤까지’를…
로마 가톨릭 및 알미니안주의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어떻게 부인하는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알미니안주의를 따르는 교회들 역시 예수님을 “주님! 주님!”하고 부르지만, 그들이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끌고 가는 곳이 과연 그리스도의 복음일까. 만일 아니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리스도의 교회라 자처하는 사실은 무서운 일이다. 로마 가톨릭 및 알미니안주의는 사람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에 전적으로 (exclusively)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성례전에 참여한다던지, 믿음을 계속 유지한다던지, 등등 구원 받고자 하는 쪽에서 만족시켜야 할 어떤 부분이 있다고 가르친다. 이는 인류가 타락한 이후 각 사람이 도저히 만족시킬 수 없는 하나님의 의를 그리스도께서 홀로 완벽히 만족시키셨다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훼손할 뿐 아니라, 우리를 홀로 구원하신 하나님과 그의 그리스도의 영광을 가로채는 심각한 죄가 아닐 수 없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다음과 같이 고백하고 있다 [강조는 졸인 추가]: 29문: 왜 하나님의 아들을 예수, 곧 구주(救主)라 부릅니까?…
성부 하나님에 대하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26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26 문답은 사도신경에서 고백한 성부 하나님에 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26문: “전능하신 성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나는 믿사오며”라고 고백할 때 당신은 무엇을 믿습니까? 답: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하신 아버지께서 아무것도 없는 중에서 하늘과 땅과 그 가운데 있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고, 또한 그의 영원한 작정과 섭리로써 이 모든 것을 여전히 보존하고 다스리심을 믿으며, 이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 그리스도 때문에 나의 하나님과 나의 아버지가 되심을 나는 믿습니다. 그분을 전적으로 신뢰하기에 그가 나의 몸과 영혼에 필요한 모든 것을 채워 주시며, 이 눈물 골짜기 같은 세상에서 당하게 하시는 어떠한 악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실 것을 나는 조금도 의심치 않습니다. 그는 전능하신 하나님이기에 그리하실 수 있고, 신실하신 아버지이기에 그리하기를 원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