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는 구원의 필연적 결과이지 근거가 아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2, 63, 64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62–64 문은 우리의 행위와 구원의 관계에 관한 질문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62문: 우리의 선행은 왜 하나님 앞에서 의가 될 수 없으며 의의 한 부분이라도 될 수 없습니까? 답: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설 수 있는 의는 절대적으로 완전해야 하며 모든 면에서 하나님의 율법에 일치해야 합니다 [1]. 그러나 우리가 이 세상에서 행한 최고의 행위라도 모두 불완전하며 죄로 오염되어 있습니다 [2]. 63문: 하나님께서 우리의 선행에 대해 이 세상과 오는 세상에서 상 주시겠다고 약속하시는데 [3], 그래도 우리의 선행은 아무 공로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까? 답: 하나님의 상은 공로로 얻는 것이 아니고 은혜로 주시는 선물입니다 [4]. 64문: 이러한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무관심하고 사악하게 되지 않겠습니까 [5]? 답: 아닙니다. 참된 믿음으로 그리스도에게 접붙여진 사람들이…
‘회개하면 용서 받는다’는 것은 복음이 아니다
오정현 목사와 사랑의 교회를 향한 손봉호 교수의 글을 읽었다. 그 글의 주제와 전체적인 내용에 동감한다. 그런데 읽다가 작은 구절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우리 복음이 지닌 가장 아름답고 강력한 장점 가운데 하나가 바로 회개하면 용서받고 용서한다는 사실이다. 이것을 읽고 잠시 생각에 빠졌다 — 그리스도 안에서 회개하는 자를 하나님께서 용서하신다는 것은 물론 옳은 말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회개하면 용서받는다’는 것을 복음의 내용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는가? 하나님의 ‘법’은 우리 보고 무엇을 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복음’은 (우리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일을 말하기 때문이다: 율법: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해야할 당위 (십계명으로 요약 되는 하나님의 모든 명령들) 복음: 하나님께서 사람을 위해 이루신 사실 (하나님께서 구원에 필요한 모든 것을 그리스도에게서 찾으셨다는 사실) “복음을 믿으라” 혹은 “회개하라”는…
로마 가톨릭 및 알미니안주의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어떻게 부인하는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알미니안주의를 따르는 교회들 역시 예수님을 “주님! 주님!”하고 부르지만, 그들이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끌고 가는 곳이 과연 그리스도의 복음일까. 만일 아니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리스도의 교회라 자처하는 사실은 무서운 일이다. 로마 가톨릭 및 알미니안주의는 사람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에 전적으로 (exclusively)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성례전에 참여한다던지, 믿음을 계속 유지한다던지, 등등 구원 받고자 하는 쪽에서 만족시켜야 할 어떤 부분이 있다고 가르친다. 이는 인류가 타락한 이후 각 사람이 도저히 만족시킬 수 없는 하나님의 의를 그리스도께서 홀로 완벽히 만족시키셨다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훼손할 뿐 아니라, 우리를 홀로 구원하신 하나님과 그의 그리스도의 영광을 가로채는 심각한 죄가 아닐 수 없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다음과 같이 고백하고 있다 [강조는 졸인 추가]: 29문: 왜 하나님의 아들을 예수, 곧 구주(救主)라 부릅니까?…
교황청의 주장을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됨
베네딕토 16세께서 사임하셨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평화를 지키려 했던 그 분의 노력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것이고, 교황의 자리가 사도 베드로에게 까지 이어지는 전통 위에 서있다는 교황청의 주장은 역사적으로 허구다. 스캇 클락 (R. Scott Clark) 교수가 간단히 정리한 글이 있으니 맛보기로 삼으면 좋겠다. (클락 교수는 캘리포니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회사 및 역사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허구라는 것이 쉽게 밝혀지는 이야기를 마땅히 믿어야 할 진리라고 가르치는 그 사람들(교황청)의 주장은 거기서 끝나지 않고, 자신들을 진리의 기둥과 터가 되는 교회의 스승들로 예수님께서 세우셨음을 믿어야 하며,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여 과거에 공의회를 통해 선언한 것에는 영구히 오류가 없는 것으로서 오고 오는 신도들이 마땅히 믿어야 한다고 또한 주장한다. 이런 것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눈감고 자신을 이 종교집단과…
왜곡되어 인용되는 인기 구절 (2):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은 아니니라”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 믿음으로만은 아니니라”는 야고보서 2장 24절 말씀은 칭의(稱義, justification)의 문제와 관련하여 종종 (특히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왜곡 되어 인용된다. 칭의라고 하는 신학 용어는 쉽게 말해 사람이 하나님께로부터 ‘너는 죄 없는 자로 여긴다’ 하심을 받는 것을 가리킨다. 야고보서의 말씀이 언뜻 보면 칭의를 위해서는 사람의 행함도 필요하다고 가리키는 것 처럼 보이는데, 그러려면 성경에서 ‘의롭다 하심’이라는 말이 나올 때는 항상 ‘칭의’를 뜻하는 것이어야 할텐데,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 야고보서의 이 말씀을 가지고 쓰여진 좋은 글들이 많이 있는데, 국어로 쓰여진 것 중엔 개인적으로 쏙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 이번 기회에 나름대로 정리한 것을 적어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언급했듯이, 야고보서 2:24에서 사용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δικαιόω)라는 표현은 칭의 말고도 다른 뜻으로 성경에서…
십계명 제 3계명과 성령 훼방의 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 100 문답)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100 문답은 제 3계명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99문: 제3계명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저주나 거짓 맹세, 또는 불필요한 서약으로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거나 잘못 사용하지 않는 것이며, 더 나아가 침묵하는 방관자가 되어 그러한 두려운 죄에 참여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히려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만 사용하여,5 우리가 하나님을 바르게 고백하고 부르며 우리의 모든 말과 행실에서 그분이 영광을 얻도록 하는 것입니다. 100문: 맹세나 저주로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은 그들이 할 수 있는 대로 그러한 죄를 막거나 금하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 하나님께서 진노하실 정도로 중대한 죄입니까? 답: 진실로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보다 더 크고 하나님을 진노케 하는 죄는 없습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이 죄를 사형으로 벌하라 명하셨습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김헌수 목사님의 강설 중 일부분이다. 제 3계명과 관련하여 성신…
천국의 열쇠와 교회의 권징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83, 84, 85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83–85문답은 마태복음 16장 18–19절에서 언급된 천국의 열쇠에 관한 문답이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이다.) 83문: 천국의 열쇠는 무엇입니까? 답: 거룩한 복음의 강설과 교회의 권징인데, 이 두 가지를 통하여 믿는 자에게는 천국이 열리고 믿지 않는 자에게는 닫힙니다. 84문: 거룩한 복음의 강설을 통하여 어떻게 천국이 열리고 닫힙니까? 답: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공로 때문에 사람들이 참된 믿음으로 복음의 약속을 받아들일 때마다 참으로 그들의 모든 죄를 사하신다는 사실이 신자들 전체나 개개인에게 선포되고 공적(公的)으로 증언될 때, 천국이 열립니다. 반대로 그들이 돌이키지 않는 한 하나님의 진노와 영원한 정죄가 그들 위에 머문다는 사실이 모든 믿지 않는 자와 외식(外飾)하는 자에게 선포되고 공적으로 증언될 때, 천국이 닫힙니다. 이러한 복음의 증언에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이 세상에서와 장차 올 세상에서 심판하실 것입니다. 85문: 교회의 권징을 통해서 어떻게 천국이 닫히고 열립니까? 답: 그리스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