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회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88, 89, 90, 91 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88–91문은 회개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88문: 사람의 진정한 회개는 무엇입니까? 답: 옛사람이 죽고 새사람으로 사는 것입니다 [1]. 89문: 옛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하나님을 진노케 한 우리의 죄를 마음으로 슬퍼하고 더욱더 미워하고 피하는 것입니다 [2]. 90문: 새사람으로 다시 사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안에서 마음으로 즐거워하고 [3], 하나님의 뜻에 따라 모든 선을 행하며 사는 것을 사랑하고 기뻐하는 것입니다 [4]. 91문: 그런데 선행이란 무엇입니까? 답: 참된 믿음으로 [5] 하나님의 율법을 따라서 [6] 그리고 그의 영광을 위하여7 행한 것만을 선행이라 하며, 우리 자신의 생각이나 사람의 계명에 근거한 것은 선행이 아닙니다 [8]. [1] 롬 6:4-6; 고전 5:7; 고후 7:10; 엡 4:22-24; 골 3:5-10 [2] 시 51:3-4,17;…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것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 100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9, 100 문은 십계명 제 3계명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99문: 제3계명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저주나 [1] 거짓 맹세 [2], 또는 불필요한 서약으로 [3]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거나 잘못 사용하지 않는 것이며, 더 나아가 침묵하는 방관자가 되어 그러한 두려운 죄에 참여하지 않는 것입니다 [4]. 오히려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만 사용하여 [5], 우리가 하나님을 바르게 고백하고 [6] 부르며 [7] 우리의 모든 말과 행실에서 그분이 영광을 얻도록 하는 것입니다 [8]. 100문: 맹세나 저주로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은 그들이 할 수 있는 대로 그러한 죄를 막거나 금하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 하나님께서 진노하실 정도로 중대한 죄입니까? 답: 진실로 그렇습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는 것보다 더…
성찬과 미사의 차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80, 81, 82 문)
하이델베르트 요리문답 제 80–82문은 성찬의 의미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80문: 주의 만찬과 로마 교회의 미사는 어떻게 다릅니까? 답: 주의 만찬은 첫째,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십자가 위에서 단번에 이루신 유일한 제사에 의해 우리의 모든 죄가 완전히 사해졌음을 확증합니다 [1]. 둘째, 성신에 의해 우리는 그리스도에게 연합되었으며 [2], 그의 참된 몸은 지금 하늘에 있고 하나님 우편에서 [3] 우리의 경배를 받으심을 확증합니다 [4]. 그러나 미사는 첫째, 그리스도가 산 자들이나 죽은 자들을 위해서 사제들에 의해 지금도 매일 드려지지 않으면, 그리스도의 고난에 의해서는 그들이 죄 사함을 받지 못한다고 가르칩니다. 둘째, 그리스도는 떡과 포도주의 형체 속에서 몸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속에서 경배를 받아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므로 미사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단번의 제사와 고난을 부인하는…
“사탄의 방해”라는 표현의 오활한 사용을 주의함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7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7문은 주기도문의 간구 가운데 여섯번째 간구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은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127문: 여섯째 간구는 무엇입니까? 답: “우리를 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며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로, 이러한 간구입니다: “우리 자신만으로는 너무나 연약하여 우리는 한 순간도 스스로 설 수 없사오며 [1], 우리의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인 마귀와 [2] 세상과 [3] 우리의 육신은 [4] 끊임없이 우리를 공격하나이다. 그러하므로 주의 성신의 힘으로 우리를 친히 붙드시고 강하게 하셔서, 우리가 이 영적 전쟁에서 패하여 거꾸러지지 않고 [5], 마침내 완전한 승리를 얻을 때까지 우리의 원수에 대해 항상 굳세게 대항하게 하시옵소서 [6].” [1] 시 103:14-16; 요 15:5 [2] 고후 11:14; 엡 6:12; 벧전 5:8 [3] 요 15:19; 요일 2:15-16 [4] 롬 7:23; 갈 5:17 [5] 마 10:19-20; 26:41;…
- 교회, 하나님 나라 | Church & Kingdom of God, 구원 | Salvation, 복음 | Gospel, 신령한 생활 | Spiritual Life, 언약신학 | Covenant Theology
율법과 복음 (9)
우리 시조 할아버지 아담이 범죄한 직후 하나님께서는 곧바로 복음 곧 은혜로운 구원의 언약을 베푸셨다. 아담 이래로 믿음으로 그 언약을 지킨 무리들이 곧 하나뿐인 보편적 교회(catholic church)이다. 그 보편적 교회가 하나님께로부터 단번에 받은 믿음(유 3)의 내용 앞에 우리의 신앙을 비춰보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이번 편에서는 그동안 '율법과 복음'이라는 제목 아래 상고한 것들을 역사적인 신앙고백과 비교해 본다.
율법과 복음은 함께 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2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92문은 십계명에 관한 것이다. 십계명은 아브라함의 언약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신 법령으로서, 그 가운데에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뜻이 나타나 있다. 그래서 그 서두에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너의 하나님 여호와로라”라고 선언하신다. 십계명을 지켰기 때문에 너희가 내 백성이 아니라, 너희가 내 백성이니까 십계명을 지키라는 것이다. 그와 같이, 복음을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 된 우리에게도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법을 지킬 것을 요구하신다. “육신을 따르지 않고 그 영을 따라 행하는 우리에게 율법의 요구가 이루어지게 하려 하심이니라” (롬 8:4). 율법을 잘 지키면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이니까 하나님의 법을 지켜야 한다. 이 말은 구약의 제사법과 관습법 등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함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제 120-121문)
우리는 삼위일체 교리에 너무 익숙한 나머지 주기도문의 서두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를 읽고 삼위 중 성부(聖父)를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꼭 그렇게 해석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는 삼위일체 되시는 하나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아버지가 되시는 유일하신 하나님 당신을 부르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당하다. 이것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도 볼 수 있다 (아래는 독립개신교회 번역본): 120문: 그리스도께서는 왜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로 부르라 명하셨습니까? 답: 그리스도께서는 기도의 첫머리에서부터 우리 마음에 하나님께 대하여 어린아이와 같은 공경심과 신뢰를 불러일으키기를 원하셨는데, 이것이 우리의 기도의 기초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 아버지가 되셨으며 [1], 우리가 믿음으로 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 부모가 땅의 좋은 것들을 거절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더 거절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2]. 121문: “하늘에 계신”이라는…